돌할우밤 공부방

분류 전체보기 (13)

  1. 2021.06.20 /Linux/RHCSA/3일차

    1. 확장 퍼미션(setUID setGID sticky bit)에 대하여 + 실습 확장 퍼미션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는 user, group, other 권한이 존재하고 각각 읽기, 쓰기, 실행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런 일반 권한 이외에도 리눅스에는 확장 퍼미션 즉 확장 권한이 존재하는데 이것이 setuid, setgid, sticky bit이다. 특수권한 setUID setGID sticky bit 8진수 4 2 1 먼저 위의 표를 보면 이렇게 나타낼 수 있는데 즉 확장퍼미션 값을 주고 싶으면 예를 들어 chmod? 744 이때 확장 퍼미션 값을? 에 집어넣으면 되겠다 -setUID SetUID가 설정된 파일을 실행할 때 일시적으로 파일 소유자의 권한을 얻어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..

  2. 2021.06.18 /Linux/RHCSA/2일차

    1. 사용자 및 그룹 생성 삭제 예제 1) : 사용자 5개 생성하기 그룹 1개 만들고 생성한 5개의 사용자들 보조 그룹 지정하기, 그 후 전부 삭제 이때 삭제할 때 홈 디렉터리까지 전체 삭제하기. - 사용한 명령어 useradd [option] user-name - 사용자 생성 userdel [option] user-name - 사용자 삭제 groupadd [option] group-name groupdel group-name gpasswd [option], vi /etc/group - 그룹에 멤버 추가 자 먼저 사용자 5개를 생성해 보자. useradd로 사용자 추가하는 모습 tail 명령어로 추가된 사용자 확인하는 모습 그다음 생성한 사용자들을 포함시킬 그룹을 하나 만들어 보자. 자 이제 사용자 5개..

  3. 2021.06.16 /Linux/RHCSA/1일차

    1. 디렉터리 계층 구조의 관하여 - 리눅스는 위 사진과 같이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디렉터리가 계층적 즉 트리구조로 나뉘어 있다. 이것을 '파일 시스템'이라 한다. - / (root) : 위 사진에서 보이듯이 모든 디렉토리의 시작 즉 '최상위 디렉터리'이다. - 하위 디렉터리(서브 디렉터리) : '/ (root)' 아래로 위치한 디렉터리 ex) /(root) 아래 usr 아래 local 아래 bin 디렉터리 = /usr/local/bin 이렇게 되겠다. - 상위 디렉터리 (부모 디렉터리) : '..'로 표기되고 '/ (root)' 를 제외한 하위 디렉토리에는 상위 디렉토리가 있다. - 작업 디렉터리 : '.'으로 표기되고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를 뜻한다. - 홈 디렉토리 : '~'으로 표기되고 ..

1 2

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