돌할우밤 공부방

IT_공부 (13)

  1. 2021.07.06 /Linux/RHCSA/연습문제 1

  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
  2. 2021.07.04 /Linux/RHCSA/12일차(예제 풀기)

    1. There is a local logical volumes in your system, named with common and belong to VGSRV volume group, mount to the /common directory. The definition of size is 128 MB. Requirement: Extend the logical volume to 190 MB without any loss of data. The size is allowed between 160-160 MB after extending. 1. 시스템에 이름이 common으로 지정되고 VGSRV 볼륨 그룹에 속한 로컬 논리적 볼륨이 /common 디렉토리에 마운트됩니다. 크기의 정의는 128MB입니다. 요구 사..

  3. 2021.07.04 /Linux/RHCSA/11일차(예제 풀기)

    1. /data Directory is shared from the server1.example.com server. Mount the shared directory that: 1. /data 디렉토리는 server1.example.com 서버에서 공유됩니다. 다음 위치의 공유 디렉토리를 마운트합니다. 더보기 vi /etc/fstab server1.example.com:/data /mnt/data nfs defaults 0 0 mount -a 2. You are new System Administrator and from now you are going to handle the system and your main task is Network monitoring, Backup and Restore. Bu..

  4. 2021.07.03 /Linux/RHCSA/10일차(예제 풀기)

    1. Find out files owned by jack, and copy them to directory /root/findresults 1. 잭이 소유한 파일을 찾아 /root/findresults 디렉토리에 복사합니다. 더보기 find / -user jack exec cp {} /root/findresults \; 2. Find out all the columns that contains the string seismic within /usr/share/dict/words, then copy all these columns to /root/lines.txt in original order, there is no blank line, all columns must be the accurate copy..

  5. 2021.07.03 /Linux/RHCSA/9일차(예제 풀기)

    11. Create a volume group, and set 8M as a extends. Divided a volume group containing 50 extends on volume group lv (lvshare), make it as ext4 file system, and mounted automatically under /mnt/data. (And the size of the floating range should set between 380M and 400M.) 이 부분 무시 논리 볼륨 만들라는 얘기 11. 볼륨 그룹을 생성하고 8M을 확장으로 설정합니다. 볼륨 그룹 lv(lvshare)에서 50개의 확장이 포함된 볼륨 그룹을 분할하여 ext4 파일 시스템으로 만들고 /mnt/data 아..

  6. 2021.07.02 /Linux/RHCSA/8일차(예제 풀기)

    1. Configure your Host Name, IP Address, Gateway and DNS. Host name: station.domain40.example.com 1. 호스트 이름, IP 주소, 게이트웨이 및 DNS를 구성합니다. 호스트 이름: station.domain40.example.com 안의 파일이 / /etc/sysconfig/network hostname=abc.com hostname abc.com 되어 있다 가정 IP Address:172.24.40.40/24 - Gateway172.24.40.1 - DNS:172.24.40.1 - 이렇게 바꾸시오 더보기 hostnamectl set-hostname station.domain40.example.com nmcli con mod e..

  7. 2021.06.30 /Linux/RHCSA/7일차

    1. 2개의 가상머신에서 한개는 nfs 서버 한개느 nfs 클라이언트로 설정해서 연결(읽고, 쓰기만 가능) 시켜주기 - NFS란? (Network File System)라고 하며 분산파일 시스템 프로토콜이다. 특징은 윈도우의 공유 폴더처럼 파일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일관성을 가지며 윈도우에서도 가능하고 공유된 파일에 데이터를 보관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동일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규모가 큰 소프트웨어를 배포할 때 시스템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. 1. NFS 서버 구성 먼저 서버를 구성하고 파일을 공유하려면 시스템에 nfs-utils패키지를 설치해야 한다. yum -y isntall nfs-utils 2. export 파일 작성 NFS 서버에서 디렉토리를 공유하려면 /etc/export..

  8. 2021.06.28 /Linux/RHCSA/6일차

    1. 가상머신(VMware pro기준)에 디스크를 추가해 보자. 1. 2. 3. 2. os에서 추가된 하드디스크 상태확인과 fdisk 파티셔닝 후 파일시스템 포멧 및 마운트해보기. -자 이제 앞서 디스크를 추가시킨것이 잘 적용이 됫는지 확인해 보자(명령어 3개로 알아보자) 사용법: lsblk - 리눅스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로 blkid 보다 더 상세한 정보 출력 df [option]- 리눅스 시스템 전체의 (마운트 된)디스크 사용량을 출력 (옵션은 마운트 할 때 알아보자) - lsblk의 옵션 옵션 설명 -f 파일 시스템 정보까지 출력 -t topology 정보도 출력 나는 간단하게 lsblk명령어로 확인해보겠다 fdisk 파티셔닝 이제 하드디스크도 새롭게 추가 했으니 파티셔닝을 해보자 (fi..

  9. 2021.06.27 /Linux/RHCSA/5일차

    1. SSH 인증키 생성하여 접속해보기. 4일 차에서 SSH를 다뤄보았는데 이번에는 SSH의 큰 특징 중 하나인 '암호와 패킷 전송'을 사용하여 접속할 때 비밀번호 없이 접속해 보겠다. - SSH 인증키란? SSH 인증키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및 인증 확인과 응답 인증을 사용하여 SSH 서버에 인증하는 방식이다. 기존 비공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 인증으로 접속을 했지만 SSH인증키가 있으면 암호를 생각하고 접속할 수 있다 - SSH 인증키 동작 방식 인증키의 동작 방식은 이러하다. 1. 클라이언트에서 공개키(public key), 개인키(private key)를 생성. 2. 서버에 생성한 공개키를 전달. 3. 클라이언트가 SSH로 서버에 개인키로 로그인 접속. 이 때 여기서 '개인키는 절대 ..

  10. 2021.06.22 /Linux/RHCSA/4일차 1

    1. SELinux의 개념 및 설정해보기. SELinux란? Sexurity Enhanced Linux의 약자이며 과거 Linux의 보안을 강화하고 보완한 것이다 또한 앞에 말했다 시피 Linux의 핵심인 커널(Kernel)을 보호하기 위한 '도구'이며 리눅스 커널(Linux Kernel) 에 내장된보안 모듈이며 강제적 접근 제어(Mandatory Access Control - MAC)를 수행한다 이를 이용해 응용프로그램에서 불필요한 부분은 제외하고 오직 필요한 기능에 대해서만 사용 권한을 안전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. SELinux 동작모드 : SELinux에는 3가지 상태가 존재한다. - enforcing : 강제 - permissive : 허용 - disabled : 비활성화 자 이제 이 3가지..

1 2

>